UPDATED. 2024-04-07 22:52 (일)
"탈석탄보다 탈원전 우선시하는 정책 반드시 재고돼야"
"탈석탄보다 탈원전 우선시하는 정책 반드시 재고돼야"
  • 프리덤뉴스
  • 승인 2018.0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완전한 탈원전은 2082년 이후에나 가능
2030년까지 그리드 패리티 가능하다는 연구결과 없다

문재인정부의 `탈원전·탈석탄 정책`은 탈석탄보다 탈원전을 우선시하고 있으며 이는 반드시 재고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최현정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issue BRIEF 최신호(2018.5)에 게재한 글에서 "우리나라 에너지정책 기조가 `탈원전·탈석탄`을 표방하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탈원전만을 장기적으로 지향하고 있을 뿐 탈석탄은 지향하고 있지 않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최 연구위원은 에너지 전환전략의 국제적인 경향이 있다면 탈원전보다는 탈석탄이 훨씬 더 일반적이고 보편성 있는 정책이기도 하다고 지적하고 원자력발전이 석탄발전보다 대기오염이 적고 경제성도 높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경제성을 갖추지 못한 신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 전환에 따른 사회적 비용증가 여부 전력소비자인 산업계와 가계 등 경제주체들과의 사회적 합의 부족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배출하지 않던 원전 비중을 줄이고 탄소원료인 LNG의 사용을 늘리는 방향 태양열(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가 가져올 토지환경 파괴와 그에 따른 비용 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점을 지적했다.

에너지 전환 비용문제와 관련해 그는 "정확한 추계도 없을 뿐 아니라 유휴 발전설비의 활용과 같은 방법은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단가가 원전을 포함한 기존 에너지의 발전단가와 같아지는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의 조기달성 가능성은 현 정부의 탈원전 에너지 정책의 강력한 근거라고 지적하고 그러나 "국토 규모의 한계를 지닌 우리나라에서 2030년까지 진정한 의미의 그리드 패리티가 가능하다는 연구결과는 없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현재 가동 중인 원전 24기 중 15기를 자연 퇴출시켜 신규원전의 건설과 함께 2038년에는 14기의 원전만을 갖겠다는 것이 `탈원전 정책의 핵심임을 환기시키고 "원전의 설계수명이 60년이라는 점에서 단순계산을 하더라도 한국에서 발전비중 0%를 의미하는 완전 탈원전은 2082년 이후에나 가능하다, 현 정부의 집권기간(2017.5-2022.5)은 물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기간(2017-2031) 동안에도 달성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최 연구위원은 원자력과 석탄이 현재는 물론 가까운 미래에도 경제성이 가장 큰 발전원이라고 말하고 "가장 큰 경제성을 지니고 있는 두 에너지원을 동시에 포기한다는 것은 곧 국가경제와 산업에 가져올 부담이 가중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우려하기도 했다./프리덤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