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07 22:52 (일)
[제29차 공대위 기자회견] 공대위, 성명서 발표 ‘위안부 어르신들을 이권의 수단으로 반복해선 안 된다.’
[제29차 공대위 기자회견] 공대위, 성명서 발표 ‘위안부 어르신들을 이권의 수단으로 반복해선 안 된다.’
  • 박세원
  • 승인 2020.06.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가족들로 구성된 '위안부피해자가족대책협의회'(약칭, 위가협)의 발족과 관련, 공대위의 성명서 발표
공대위집회 관련사진1
공대위집회 관련사진1

 

23일 정오에 일본군 성노예상 부근에서 위안부 인권 보호와 성노예상 철거를 촉구하는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이하 공대위)와 위안부인권보호실천연대(이하 위인연)가 주최하는 제 29차 기자회견이 있었다.

최덕효ㅣ 공대위 공동대표
최덕효ㅣ 공대위 공동대표
발언을 하고 있는 김병헌 기획단장
발언을 하고 있는 김병헌 국사교과서연구소장
발언을 하고 있는 나수열 공대위 대변인
발언을 하고 있는 나수열 공대위 대변인
피컷을 들어보이고 있는 김병헌 공대위 기획단장
피컷을 들어보이고 있는 김병헌 공대위 기획단장

 

특별히 이날은 위안부피해자가족대책협의회가 발족된다는 소식에 맞춰 공대위의 입장을 대변하는 성명서 발표가 있었다.

한편, 공대위의 집회를 방해하며 집회신고 1순위 자리에서 완강히 저항하는 '반아베반일 청년학생공동행동' 소속 청년들이 온몸을 밧줄로 감은 채 반대 시위를 하여 눈길을 끌었다.

관련 집회 현장 사진(공대위 제공)
관련 집회 현장 사진(공대위 제공)

 

성명서는 내용은 아래과 같다.

-----------

[성명서] 위안부 어르신들을 이권의 수단으로 반복해선 안 된다

- 위안부피해자가족대책협의회 발족에 즈음하여

 

정의연(이하 정대협)과 윤미향, 그리고 나눔의집을 둘러싼 각종 의혹이 연일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겉으로 드러난 것은 회계부정과 횡령 등 기부금·후원금과 관련된 것이지만 본질적으로는 구 일본군 위안부 어르신을 돕는다는 이른바 지원단체의 정체성과 그곳 활동가들의 존재 이유에 관한 질문이다.

 

단적인 예로, 당시 구순의 고 김복동 어르신이 고통스런 척추 유착과 결장암 진단에도 불구하고 3주 동안 유럽투어와 화해·치유재단 반대 시위에 동원된 것은 무엇을 위함인가. 고 배춘희 · 길원옥 어르신에 대해 나눔의집과 정대협 측이 받아낸 것으로 알려진 기부약정서란 이름의 재산착복 의혹은 무엇을 말함인가. 그리고 최근 정대협 쉼터의 한 관리자의 의혹투성이 사망사건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정대협에서는 할머니들은 단지 수동적인 피해자로 머물지 않고 활발한 인권운동가가 됐다”(입장문 2020.5.20.)고 자화자찬하지만 그것이 진정 어르신들이 원하는 길이었는가. 그래서 아시아여성기금을 수령한 60명과 80%에 달하는 화해·치유재단 지원금 수령자 37명의 견해는 모르쇠로 일관했는가. 국민들에게 기부금을 걷어 상당 부분을 국제활동에 치중했다는 그 국제활동이란 것이 대체 어르신들의 삶의 궤적과 무슨 상관이 있단 말인가.

 

지원단체가 신주단지처럼 여기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와 맥두걸 보고서의 강제연행근거인 요시다 세이지(吉田清治)의 진술이 거짓임은 이미 밝혀지지 않았는가. 또한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위안부가 모집된 것으로 잘못 이해한 센다 가코(千田夏光)의 책을 읽은 윤정옥이 정대협을 만들었다는 사실 또한 알려지지 않았는가. 위안부와 군수공장 정신대는 다른 것이었다고 뒤늦게 지적한 이용수 어르신의 질타 앞에서 정대협 설립자들과 지원단체 관계자들은 차마 얼굴을 들 수 있겠는가.

 

일제는 1916년 한반도에 공창제를 이식함으로써 성인을 대상으로 한 상업매춘의 시대를 열었다. 본디 공창제란 오늘날 독일과 네덜란드 등 유럽지역과 중남미 대부분의 나라들이 채택한 성노동(Sex Work) 합법화(혹은 비범죄화) 정책과 별반 다르지 않다. 즉 국가는 노동에 따른 세수를 확보하고 성병 검진제도를 통해 질병관리를 도모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일제하 상업매춘이 중일전쟁 이후 태평양전쟁 전시체제에서 그 일부가 전쟁 지역으로 이동했으며 성병 문제 등 위안소 관리에 군이 개입했다는 것이 역사적 사실이다. 따라서 일본은 그 책임을 지고자 1995년부터 아시아여성기금을 조성해 위안부 해당국가(일본 제외)인 한국, 대만,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피해자 여성들에게 명예 회복 및 보상 사업을 실시한 바 있다.

 

위안부 상업영화들이 넘쳐나고 있다. 어린 소녀들과 주검으로 가득한 눈뜨고 볼 수 없는 참담한 장면들로 가득한 이런 영화들은 역사적 진실에 가까운 것일까.

 

참고로, 징용피해자 고 최장섭 어르신은 영화 <군함도>에 등장한 어린 소녀는 군함도에서 못 봤다며 상상이 덧붙은 것 같다고 했다. 그리고 미군의 폭격으로 사망한 조선인의 시체를 한데 모아 불태우는 장면 역시 사실과 다르다며 “(하시마에서 일하다 죽은 사람을) 일본인들은 그 시체를 거둬 잘 정리한 뒤 다 한국으로 보냈다그거 하나는 참 착하게 잘 했다고 회상했다.

 

전쟁 말기 일본 제국주의의 광기 아래 옥쇄(玉碎)와 같은 극한의 경우를 별개로 한다면, 우리와 마찬가지로 유교문화권인 일본이 주검에 대해 경건한 태도를 지녔다는 것을 상상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오늘 한국 사회에서 한쪽에선 불쌍한 14세 소녀 위안부 피해자 수십만 명()을 흘리는 가운데, 다른 한쪽에선 위안부상 95점을 팔아 30억원대 매출을 올리고 있다. 게다가 이들은 동상 상표권 등록 출원까지 시도했다 공익성을 이유로 당국에 의해 거절당하지 않았는가. 이들이 대량생산하는 동상이 상품이 아니라면 굳이 상표권이 필요한 까닭은 대체 무엇인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가족들로 구성된 '위안부피해자가족대책협의회'(위가협)이 이용수(92)·길원옥(92) 할머니를 공동대표로 추대한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위가협은 정의기억연대(정의연)와 대립하는 것을 원치않는다""우리는 위안부 피해자의 가족으로, 피해자 중심으로 위안부 운동이 쇄신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모처럼 당사자 운동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위가협에게 권한다.

피해자들의 인권이란 이름으로 사실상 이권놀음을 하고 있다는 혐의에 직면해 있는 지원단체의 해체를 요구할 것, 그리고 이를 위해 이용수 어르신의 요청처럼 성노예용어를 거부할 것, 나아가 허구의 위안부상(성노예상) 철거를 단호하게 요구해야 할 것이다.

 

2020623

위안부 인권 보호와 성노예상 철거를 촉구하는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위안부인권보호실천연대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